TSMC 독주? 삼성 추격? 글로벌 파운드리 TOP 5 현주소와 특징
| 파운드리의 1인자, 대만의 TSMC |
안녕하세요! 여러분은 혹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을 사면서 '이 안에 들어있는 반도체 칩은 누가 만들었을까?' 궁금해본 적 없으신가요? 😊 저도 예전에는 그냥 애플, 엔비디아 같은 브랜드만 생각했거든요. 그런데 알고 보니, 이 똑똑한 칩들을 '설계'하는 회사와 '생산'하는 회사가 나뉘어 있다는 사실!
오늘은 바로 이 '생산'을 전담하는, 즉 반도체 업계의 거대한 '슈퍼 공장' 역할을 하는 '파운드리(Foundry)' 회사들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 이들이 있기에 우리는 더 빠르고 강력한 전자기기들을 만날 수 있는 거죠. 그럼, 지금 세계 시장을 주무르는 파운드리 TOP 5는 어디일까요? 🚀
1. '파운드리'가 도대체 뭔가요? 🏭
가장 먼저 '파운드리'가 뭔지 알아야겠죠? 쉽게 말해 파운드리는 반도체 '설계도(레시피)'를 받아 '제품(칩)'을 대신 생산해주는 전문 기업을 말합니다. 빵집으로 비유하자면, 멋진 케이크 레시피는 있지만 공장이 없는 '파티시에(설계 회사)'가 '대형 제빵 공장(파운드리)'에 의뢰해서 케이크를 대량 생산하는 것과 비슷해요.
반도체 업계에서는 칩을 설계만 하는 회사를 '팹리스(Fabless)'라고 불러요. 우리가 잘 아는 애플(Apple), 엔비디아(Nvidia), AMD, 퀄컴(Qualcomm) 등이 모두 팹리스에 속하죠. 이 회사들은 어마어마한 성능의 칩을 설계하지만, 직접 생산할 공장(Fab)은 없어요. 그래서 TSMC나 삼성전자 같은 파운드리 회사에 생산을 맡기는 거랍니다.
반도체 회사는 크게 3종류가 있어요. ①팹리스(설계), ②파운드리(생산), 그리고 ③IDM(종합반도체기업)입니다. IDM(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은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든 것을 다 하는 회사를 말해요. 대표적으로 인텔(Intel)이 있고, 삼성전자 역시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는 IDM이면서 동시에 파운드리 사업도 하고 있죠!
2.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TOP 5 🏆
그렇다면 이 중요한 파운드리 시장은 과연 누가 꽉 잡고 있을까요? 2024년 기준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규모는 약 1,500억 달러(약 200조 원)가 넘을 정도로 어마어마한데요, 이 거대한 시장의 점유율은 분기별로 꽤 변동이 있어요. 이 글에서는 2024년 2분기(Q2) 기준 매출 점유율로 TOP 5 기업을 정리해 봤습니다. (시점이나 조사 기관에 따라 수치는 약간씩 다를 수 있습니다!)
| 순위 | 기업명 | 국가 | 시장 점유율 (24년 2분기) | 주요 특징 |
|---|---|---|---|---|
| 1 | TSMC | 대만 🇹🇼 | 62.3% | 압도적인 1위, '파운드리의 신' |
| 2 | 삼성 파운드리 | 대한민국 🇰🇷 | 11.5% | 유일한 추격자, GAA 기술 선도 |
| 3 | GlobalFoundries (GF) | 미국 🇺🇸 | ~ 6% | 특수 공정(RF, IoT)에 집중 |
| 4 | UMC | 대만 🇹🇼 | ~ 6% | '성숙 공정'의 전통 강자 |
| 5 | SMIC | 중국 🇨🇳 | ~ 5% | 중국 내수 기반 급성장 |
표에서 보시다시피, TSMC가 정말 어마어마한 점유율로 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어요. 그 뒤를 삼성 파운드리가 열심히 쫓고 있고, 나머지 3개 회사가 3위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모습이죠.
3. TOP 5 기업별 특징 자세히 보기 🔍
순위만 봐서는 감이 잘 안 오시죠? 각 회사가 어떤 특징을 가졌는지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볼게요.
- 1. TSMC (대만): '파운드리'라는 비즈니스 모델을 처음 만든 회사이자, 현재 명실상부 세계 1위입니다. 애플의 아이폰 칩(A시리즈), 엔비디아의 AI 칩(GPU) 등 가장 비싸고 성능 좋은 칩들은 거의 다 TSMC가 만든다고 보시면 돼요. '고객과 경쟁하지 않는다'라는 순수 파운드리 철학으로 팹리스 고객들의 절대적인 신뢰를 받고 있죠.
- 2. 삼성 파운드리 (한국): TSMC의 유일한 대항마로 꼽히는 곳입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 1위 기업이면서, 시스템 반도체와 파운드리 사업에도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어요. 특히 'GAA(Gate-All-Around)'라는 차세대 공정 기술을 TSMC보다 먼저 도입하며 기술 초격차를 노리고 있습니다. 다만, 삼성은 스스로 칩을 설계하고 판매(IDM)도 하기 때문에, 애플이나 퀄컴 같은 팹리스 고객사 입장에서 '설계도 유출'을 우려한다는 점이 약점으로 꼽히기도 합니다. (TSMC는 순수 파운드리라 이런 걱정이 덜하죠.)
- 3. GlobalFoundries (미국): AMD에서 분사되어 나온 파운드리 회사로, 현재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어요. TSMC와 삼성이 3나노, 2나노 등 초미세 공정에서 경쟁할 때, GF는 한발 물러나 RF(통신), 전력 반도체, IoT 등 특수 공정에 집중하는 전략을 선택했어요.
- 4. UMC (대만): TSMC와 함께 대만을 대표하는 파운드리 기업 중 하나입니다. 최선단 공정보다는 28나노 이상급의 '성숙 공정(Mature node)'에 집중하며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 있어요. 우리가 쓰는 가전제품, 자동차 등에 들어가는 많은 칩이 UMC에서 생산됩니다.
- 5. SMIC (중국): 중국 최대의 파운드리 회사입니다. 미국의 제재 등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중국 정부의 막대한 지원과 내수 시장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요. 최근에는 7나노 공정까지 성공했다는 소식이 들려오며 업계를 놀라게 하기도 했습니다.
뉴스에서 '3나노', '5나노' 하는 거 들어보셨죠? 예전에는 '나노(nm)'가 반도체 회로의 선폭(선의 굵기)을 나타내는 단위였어요. 이 숫자가 낮을수록 더 좁은 공간에 더 많은 반도체를 넣을 수 있다는 뜻이었죠. 즉, 더 고성능, 더 저전력, 더 작은 칩을 만들 수 있게 되는 건데요.
다만 최근의 '3나노', '2나노'는 실제 물리적인 굵기라기보다는, 각 제조사가 자체 기준으로 명명하는 '마케팅 용어'에 가까워졌어요. 그래도 여전히 기술의 세대를 구분하는 중요한 지표랍니다!
핵심만 쏙! 파운드리 시장 한눈에 보기 📊
오늘 이야기한 내용이 조금 복잡하게 느껴지실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이 치열한 파운드리 시장의 핵심만 딱 요약해서 카드 뉴스로 만들어 봤습니다! 이것만 기억하셔도 충분해요. 😉
반도체 파운드리 TOP 5 핵심 요약
자주 묻는 질문 ❓
오늘은 반도체 세상을 움직이는 거대한 공장, 파운드리 TOP 5 기업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 이제 뉴스에서 TSMC나 삼성 파운드리 이야기가 나오면 '아, 거기!' 하고 좀 더 반갑게 들리시지 않을까 싶네요.
여러분이 개인적으로 응원하는 회사가 있으신가요? 혹은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
👉 이전 콘텐츠도 확인해 보세요!
댓글
댓글 쓰기